3.기이한일 미스테리

평행 우주를 증명하는 만델라 효과 미스테리

Mr.Lee Mystery 2020. 4. 15. 05:00
반응형

 

넬슨 만델라 전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

 

2013년 12월 05일 넬슨 만넬라 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이 세상을 떠났다. 하지만, 이 소식이 전 세계로 퍼지면서 혼란도 심해졌다. 많은 사람들이 만델라가 악명 높은 로벤 섬 교도소에서 수감생활을 하던 중 30년 전에 죽어던 것을 기억한다고 했기 때문이다.

 

 

피오나 브룸

 

초자연적 현상 전문가인 피오나 브룸과 같은 몇몇 사람들은 장례식의 장면을 보고 그 이후의 폭동을 포함하여 그 사건을 생생하게 기억한다고 한다. 브룸은 곧 대중의 기록에서 사라지는 집단적 기억의 더 많은 예를 발견했고, 2010년에 그녀는 이 현상을 '만델라 효과'라고 명명했다.

 

한번도 일어나지 않았던 사건들에 대한 집단적 기억을 말한다. 완전한 이방인들이 다른 사람들과 같은 기억을 가지고 있는 예는 셀 수 없이 많다. 심지어 정확한 세부사항까지 말이다. 하지만, 이 기억들이 묘사하는 것처럼 일어난 사건들에 대한 기록은 없다.

 

 

브룸은 이러한 기억들이 서로 만나는 평행한 현실에서 비롯된다고 믿는다. 이 경우, 사람들은 모르는 사이에 한 우주에서 다른 우주로 이동한다. 그녀는 이것이 목격자들의 생생한 기억에도 불구하고, 모든 증거가 문제의 사건이 결코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이유라고 설명한다. 우리가 평행한 현실 사이를 미끄러지듯이, 각 우주에서 일어났던 역사적 사건들도 변한다.

 

또 다른 이론은 지구가 오작동하는 소프트웨어에 갇혀 있다고 주장한다. 저널리스트 사무엘 레버는 지구가 실제로 홀로그램의 일부라고 믿는다. 홀로그램은 개인이 시공간을 오갈 수 있게 하는 가상현실 시설들이라는 것이다. 우리가 같은 우주 공간에 존재한다고 해도, 서로 다른 사람들이 서로 다른 버전의 역사적 사건들을 겪으면서, 이는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홀로그램의 기술적인 결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델라 효과에는 몇 가지 예가 있다.

 

튜더 군주 헨리 8세

 

많은 사람들은 튜더 군주 헨리 8세가 칠면조 다리를 휘두르는 왕의 모습을 그린 대형 그림을 떠올린다. 하지만, 저널리스트 노엘 디엠이 설명하듯이, 사람들이 학교와 역사 교과서에서 이 이미지를 기억함에도 불구하고, "이 세상에 존재한 적이 없다"고 말한다.

 

철자가 헷갈리는 애니메이션인 베렌슈타인

 

또 다른 신비로운 예는 베렌슈타인(Berenstain)의 곰이다. 어린이 책과 TV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팬들은 그 이름에 "E"라는 철자가 붙었다고 확신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모든 기록은 이런 식으로 철자가 쓰여진 적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며, 온라인에 있는 사람들은 이것이 만델라 효과의 결과라고 주장하도록 자극했다.

 

 

의견이 분분한 한 미국 시트콤의 제목

 

이와 비슷하게 미국 시트콤 '섹스 앤 더 시티(Sex and the city)'의 시청자들은 종종 이 쇼가 한때 '섹스 인 더 시티(Sex in the city)'라고 불렸고, 알려지지 않은 시점에서 아무런 말도 없이, 이름이 이상하게 바뀌었다고 주장한다.

 

많은 만델라 효과 사건은 어린 시절의 기억과 관련이 있다.

 

만화영화 백설공주와 영화 백설공주

 

예를들어, 디즈니 백설공주의 마녀는 '거울아, 거울아'라고 널리 인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대사는 최초에 이 영화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이 이야기의 후속적인 이야기에 영감을 주었다. 작지만 의외로 널리 퍼진 오해다.

 

리치 삼촌 페니백스

 

공식적으로 '리치 삼촌 페니백스'라고 불리는 '독재남'은 이 만화에서 쓰지도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종종 외알박이 안경을 쓰고있는 것으로 상상된다.

 

하지만, 인간의 기억력은 암시에 취약한 것으로 유명하다. 수 많은 과학 연구들은 기억력이 외부의 영향에 의해 왜곡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버드대학교 심리학 교수인 대니얼 슈터

 

하버드 대학교 심리학 교수인 대니얼 슈터는 인간의 기억은 문자 그대로 과거를 재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오류와 왜곡이 일어나기 쉬운 건설적인 과정에 의존한다고 말한다. 이는 주변 사람들에 의한 압력, 연관성, 상상력 그리고 개인적인 편견에 의해 자주 영향을 받는다.

 

또한, 이것들이 집단적인 잘못된 기억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 현상이 일종의 '갈등'이라는 데 동의하는 경향이 있다. 이때는 다른 기억들이 사람의 마음 속에 뒤섞이게 된다. 이들이 합쳐지면서 새로운 거짓 기억을 만들어내는데, 이것이 진실로 받아들여진다.

 

베렌슈타인 베어스와 아인슈타인

 

예를들어, "베렌슈타인(Berenstein)"과 베렌슈타인(Berenstain)" 사이의 혼란은 아인슈타인(Einstein)과 같이 스타인(Stein)에서 끝나는 이름들에서 비롯될 가능성이 높다. 이것은 왜 이렇게 많은 예들이 어린 시절의 만화에서 나오는지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어린 시절의 기억은 우리가 성인기에 형성하는 기억보다 신뢰성이 떨어진다.

 

또한, 사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사건들을 떠올리기 어렵다. 많은 만델라 효과의 예들은 현실과 환상의 어린시절의 혼란에서 비롯될 것 같다.

 

저널리스트 더글러스 맥퍼슨

 

저널리스트 더글러스 맥퍼슨은 '오보효과'도 거짓기억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고 지적한다. 사람들은 당연히 타인의 제안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만약 누군가가 의심스러운 것을 제시한다면, 당신은 스스로 그것을 질문하기 보다는 그들과 동의할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

 

비판적으로, 앞서 말했던 브룸의 이론에 대해서, 평행 우주는 단지 가설일 뿐이다.

 

싸이언티픽 아메리칸스의 맥스 태그마크

 

싸이언티픽 아메리칸의 맥스 태그마크가 말하듯이, "평행 우주에는 많은 잠재적인 약점"이 있다. 그것은 모두 그들이 존재한다는 시험할 수 있는 증거가 없는 것으로 규결된다. 사람들이 시공간 차원을 넘나들었다는 증거가 없는 상황에서 만델라 효과를 뒷 받침하는 과학은 기껏해야 믿을 수 없다.

 

'홀로그램'이론도 마찬가지다. 이는 만델라 효과를 설명하는 데 사용할 수 없는 허구의 오락적인 스타트렉에 의해 고안되었다.

 

 

현대 과학은 이 현상이 사람들이 평행우주를 오가는 것보다는 잘못된 기억의 산물임을 시사하고 있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만델라 효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아마도 눈에 보이는 것 이상의 것이 있을 것이다.

반응형